Expertise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Program for Institut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포스트팬데믹 시대
종교거버넌스 패러다임 연구
: 종교생태 담론을 중심으로

Study of Religious Governance Paradigm in the Post-Pandemic Era: Focusing on the Religious-Ecological Discourse

연구목표

본 연구는 포스트팬데믹 시대 종교, 국가 및 시민사회의 새로운 관계성을 종교거버넌스의 관점에서 학문적으로 정립하고자 한다. 특히 종교생태 담론 및 종교기반 생태 시민운동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종교거버넌스 패러다임의 새로운 정립과 제도화가 포스트팬데믹 시대에 요청되는 새로운 도덕공동체로서 생태적 시민사회의 통합적 형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이론적 및 정책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우선 본 연구는 코로나 사태와 같은 환경 생태 위기 대응 상황에서 종교적 자원을 어떻게 사회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책적 방안과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주류생태 담론이 지닌 반종교성에 대해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종교생태 담론을 종교거버넌스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시민사회의 공적 생태 담론에 균형감을 더하고 시민적 생태윤리에 도덕적 근거와 신념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종교와 시민사회의 관계성을 성(聖)과 속(俗)의 이분법으로 인식하는 구패러다임을 극복하고 종교다원주의와 시민주권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양자의 관계성을 포괄하는 새로운 이론적 패러다임을 선도한다. 끝으로, 연구성과의 대중적 공유를 위해 국가생명윤리정책원․서울도서관․동대문도서관․경희대학교 시민대학 등과 생명과 종교거버넌스를 주제로 시민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총 3단계로 구성한다. 1단계에서는 종교거버넌스를 개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근대 이후 한국사회의 사회복지․의료․교육․언론 등 분야에서 전개된 종교거버넌스의 초기형태 및 발전과정과 그 특징을 정치학․사회학․법학 및 종교학적 관점에서 학제적으로 탐구한다. 2단계에서는 맹아적 종교 거버넌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 근거를 모색한다. 이를 위해 생태적 시민사회의 수요에 상응하는 종교기반 생태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종교거버넌스가 어떻게 시민사회의 질적 변화에 기능하고 있는지 설문조사와 참여조사의 방법으로 분석한다. 3단계에서는 종교적 차원의 생태 정의론을 가장 체계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가톨릭의 통합생태론을 사례로써 탐구한다. 나아가 이를 기초로 종교 간 대화, 정책간담회 및 입법적 제안 등을 통해 국가․기업․시민사회의 이익을 수렴할 수 있는 사회통합적 생태 정의론이 종교거버넌스를 통해 제도화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Keyword

종교거버넌스, 종교 생태담론, 생태적 시민사회, 생태적 정의론, 도덕공동체

Religious Governance, Religious-Ecological Discourse, Ecological Civil Society, Moral Community




 연구사업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2021~2027)



포스트팬데믹 시대 종교거버넌스 패러다임 연구: 종교생태 담론을 중심으로

Study of Religious Governance Paradigm in the Post-Pandemic Era: Focusing on the Religious-Ecological Discourse


연구목표

본 연구는 포스트팬데믹 시대 종교, 국가 및 시민사회의 새로운 관계성을 종교거버넌스의 관점에서 학문적으로 정립하고자 한다. 특히 종교생태 담론 및 종교기반 생태 시민운동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종교거버넌스 패러다임의 새로운 정립과 제도화가 포스트팬데믹 시대에 요청되는 새로운 도덕공동체로서 생태적 시민사회의 통합적 형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이론적 및 정책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우선 본 연구는 코로나 사태와 같은 환경 생태 위기 대응 상황에서 종교적 자원을 어떻게 사회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책적 방안과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주류생태 담론이 지닌 반종교성에 대해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종교생태 담론을 종교거버넌스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시민사회의 공적 생태 담론에 균형감을 더하고 시민적 생태윤리에 도덕적 근거와 신념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종교와 시민사회의 관계성을 성(聖)과 속(俗)의 이분법으로 인식하는 구패러다임을 극복하고 종교다원주의와 시민주권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양자의 관계성을 포괄하는 새로운 이론적 패러다임을 선도한다. 끝으로, 연구성과의 대중적 공유를 위해 국가생명윤리정책원․서울도서관․동대문도서관․경희대학교 시민대학 등과 생명과 종교거버넌스를 주제로 시민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총 3단계로 구성한다. 1단계에서는 종교거버넌스를 개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근대 이후 한국사회의 사회복지․의료․교육․언론 등 분야에서 전개된 종교거버넌스의 초기형태 및 발전과정과 그 특징을 정치학․사회학․법학 및 종교학적 관점에서 학제적으로 탐구한다. 2단계에서는 맹아적 종교 거버넌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 근거를 모색한다. 이를 위해 생태적 시민사회의 수요에 상응하는 종교기반 생태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종교거버넌스가 어떻게 시민사회의 질적 변화에 기능하고 있는지 설문조사와 참여조사의 방법으로 분석한다. 3단계에서는 종교적 차원의 생태 정의론을 가장 체계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가톨릭의 통합생태론을 사례로써 탐구한다. 나아가 이를 기초로 종교 간 대화, 정책간담회 및 입법적 제안 등을 통해 국가․기업․시민사회의 이익을 수렴할 수 있는 사회통합적 생태 정의론이 종교거버넌스를 통해 제도화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Keyword

종교거버넌스, 종교 생태담론, 생태적 시민사회, 생태적 정의론, 도덕공동체

Religious Governance, Religious-Ecological Discourse, Ecological Civil Society, Moral Community